오늘은 호주 연금 환급 세율 계산 방법, 한국 귀국, 5,000불 이상과 관련돼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호주에서 오랜 기간 거주하시다가 이제 한국으로 완전한 귀국을 결정하신 분들이 있으신데요. 이러한 분들은 그동안 일하신 기간이 많아서 호주 수퍼 연금이 꽤 쌓이신 경우가 많습니다. 연금 잔액이 5000불이 넘어가면, 기존 일반 신청과는 다르게, 준비하셔야 될 서류가 있으셔서요. 오늘은 그 부분과 연금 세율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호주 연금 환급 세율 계산 방법, 한국 귀국, 5,000불 이상
호주 연금 돌려받는 과정
우선 호주에서 한국으로 완전히 귀국이 결정되시면 연금을 돌려받는 프로세싱이 있는데요. 우선 비자가 이민성으로부터 완전히 취소 혹은 만료가 되어야지 연금을 돌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귀국할 때 생각보다 돈이 많이 필요하신데요. 연금을 빨리 달라고 해서 받을 수는 없고 비자가 취소 또는 만료되기를 기다리셔야 하세요.
그리고 요새 호주 이민성에서는 비자 취소를 잘 안 해주는 경향이 많다고 해요. 운이 좋으면 4주 안에 취소가 되지만, 그냥 비자 만료일까지 놔두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비자 기간이 아직 많이 남으신 상태에서 귀국하시는 분들은, 비자 만료일 이후에 연금을 받으실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마음이 편하십니다.
-> 호주 이삿짐, 쓰지 않는 물건 정리 및 기부하는 방법

호주 연금 세율
호주 수퍼 연금 잔액이 8,000불이 있다고 해서 전액 다 돌려받으실 수는 없습니다. 만약 호주 워킹홀리데이, 즉 워홀부터 쭉 지금까지 호주에 거주하고 계시고, 워홀 때 똑같은 회사의 연금 계좌로 지금까지 받고 계시면 전액의 35%만 돌려받으실 수 있으세요.
예를 들어 연금 잔액이 8,000불 이 시면 35%인 2,800불만 돌려받으실 수 있으십니다. 왜냐하면 워홀 기간에 한 번이라도 연금을 받은 적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전액의 35%, 65% 환급액이 달라지기 때문에요.
그런데 만약 나는 이제까지 워홀 비자를 소지한 적이 없고, 워홀 때 연금을 받은 적이 없고, 호주에서는 학생비자부터 즉 유학생부터 쭉 거주를 하셨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신 분들은 워홀 때 연금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에 연금 세율은 전액의 65%입니다. 예를 들어 연금 잔액이 8,000불 이시면, 5,200불을 환급받으실 수 있으십니다.
워홀비자를 소지했어도, 65% 환급을 받는 방법 (가능성)
신기하게도 워홀비자를 소지했었어도 연금 세금 환급액을 65%로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데요. 여기서 주의 깊게 보셔야 될 점은 바로 워홀 때 연금을 받았던 똑같은 회사로 쭉 지금까지 받으신 경우입니다. 그 말은 만약 영주권까지 생각이 있으셔서 학생비자로 들어가는 시점에서 연금 회사를 새로 만드시면 되신다는 말씀이에요.
그렇게 하시면 워홀 때 가입하셨던 연금회사의 경우에는 추후 귀국 하실 때 저금된 잔액의 35%를 받으시고요. 이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학생비자 때부터 새로 다른 회사로 가입한 연금회사에서는 저금된 잔액의 65%를 환급받으실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세요.
그래서 추후에 만약 귀국까지 생각하시는 분들은 학생비자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꼭 연금회사를 새로 만드시길 추천드리고요. 이 워홀비자에서 학생비자로 넘어갈 때의 이 작은 행동을 하셔서 꼭 금전적으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호주 연금 잔액 5,000불 이상 준비 서류
호주에서 이제 한국으로 조기 귀국하시는 분들은 보통 조기 세금 환급이랑 연금 환급 이 두 가지를 회계사님을 통해서 보통 같이 진행하시는데요. 만약 현재 연금 잔액이 5,000불이 넘어가신다면 서류를 추가적으로 좀 더 준비를 하셔야 됩니다.
준비하셔야 될 서류는 연금 환급을 받을 계좌번호의 뱅크스테이트먼트가 필요하시고요. 그리고 각 연금회사의 “DASP” 연금 환급받는 양식을 작성해 주시면 되십니다.
-> 예시) “ART” 연금 회사 “DASP”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그리고 싸인이 포함된 여권 스캔 사진도 준비하셔야 되는데요. 이때 여권 스캔 사진은 반드시 “Certified copy”를 받으셔야 되십니다. 그래서 꼭 호주에서 받으시고 한국 귀국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Certified copy” 받는 방법에 대해 글을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호주 JP 공증 및 Certified copy 쉽게 받는 방법 글 바로가기
또한 추가로 알고 계셔야 될 정보로는 연금회사의 이름, 멤버십 넘버, 연금을 넣어준 회사의 등록 이름, 일한 기간 그리고 연금회사에 등록된 본인 주소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되세요.
그리고 웬만해서는 연금 잔액이 5,000불 이상이시면 회계사님이랑 세금이랑 연금 둘 다 같이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각보다 5,000불이 넘어가면 과정이 복잡하기도 하고, 가뜩이나 귀국으로 인해서 다들 정신이 없기도 해서요. 돈이 좀 들더라도 빨리 연금 환급을 받으실 수 있기도 하고, 아마 개인이 직접 연금 환급 신청하시면 시간이 더 소요가 될 수도 있습니다.
-> 호주 학생비자 세금 환급 금액 및 방법 알아보기 2024
한국 귀국 후, 실손 실비 보험 환급받기 (해당 되시는 분들만)
생각보다 호주에 계시면서, 혹시 모를 아플 상황의 귀국을 대비해 한국 실비 실손 보험 해지를 안 하시고 쭉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만약 오랫동안 한국에 안 들어오셨을 경우, 즉 한국을 떠난 지 3개월 이상이 되셨으면 이제까지 내셨던 실손 보험료를 한국 보험회사에 환급 신청이 가능해서요.
그래서 이제 한국으로 완전히 귀국하고 들어오셨으면, 가뜩이나 나가는 돈도 많은데 만약 실손 보험을 가지고 계시다면 꼭 환급 신청해서 조금이라도 금전적으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정리
지금까지 호주 연금 환급 세율 계산 방법, 한국 귀국, 5,000불 이상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는데요. 호주에 계시는 동안 영주권을 준비하셨지만 잘 안되셨던 분들은, 마음이 많이 아프시겠지만 그동안 고생 정말 많으셨습니다. 고생하시고 돌아가시는 만큼 한국에서도 반드시 좋은 일이 일어날 거고요! 돌아가셔도 남은 호주 연금 잘 환급받으셔서 한국 생활비에 조금이라도 보템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호주 자동차 중고차 빨리 파는 방법, 카세일즈 이용
-> 호주 렌트비 납입 증명서 준비 및 보증금 돌려 받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