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 지급 기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에는 너무 춥고, 여름철에는 너무 더워서 생각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데요. 매년 늘어나는 전기요금에 생각보다 부담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시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래서 한전에서 진행하는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 지급 기준, 방법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이란
흔히들 가정에서 한전 회사를 통해서 전기를 사용하실 텐데요.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관리사무소가 따로 있어서 매번 관리비에 전기요금이 청구가 됩니다. 또는 그 외에 빌라나 원룸에 사시는 분들은 매월 집 우편으로 고지서를 받으십니다.
요즘 에너지 수급 문제도 대두가 되고, 전기세 걱정 때문에 이전 달보다 만약 전기를 절약해서 사용하신 경우가 있을 텐데요. 이런 경우 한전에서 절감률 구간별로 전기요금을 돌려주는 그런 제도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전기요금을 전 달보다 절약해서 적게 사용하셨으면 돈을 돌려주겠다를 말과 같습니다.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급 기준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을 신청하시기 위해서는 우선 주택, 즉 현재 전입되고 거주하시는 그 주소에 한해서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캐시백 지급 기준은 직전 2개월 평균, 이번달에 3% 이상 절감할 경우 최대 30% 한도로 1 kWh 당 30~100원의 캐시백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예시
한 번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직전 2개월 평균 사용량이 332 kWh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최소 절감률이 3% 이상은 되어야 조금이라도 에너지 캐시백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그래서 만약 3% 절감된 이번달 사용하신 전기요금이 322 kWh라고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대략 10 kWh를 절약한 것입니다.
따라서, 3%~5% 절감률 사이는 1 kWh당 30원의 캐시백을 한전에서 지급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위의 절약한 “10 kWh 곱하기 30원”을 하게 되시면 300원의 캐시백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절감률에 따른 단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쉽게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급 방법
한전 에너지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만약 3월에 전기 요금을 절약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직전 2개월인 즉, 1월, 2월 사용한 전기 사용량 평균이 있을 텐데요. 이 평균대비 3월 전기요금 캐시백을 산정해서, 4월에 캐시백이 차감된 전기 요금 금액 고지서를 받으시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여기 끼지 한전 가정용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 지급 기준, 방법과 관련해서 설명해 드렸습니다. 확실히 체감상 매년마다 전기요금이 점점 상승하고 있는 느낌이 있는 것 같은데요. 이런 상황에서 간단하게 안 쓰시는 불필요한 전기사용량도 줄이고 캐시백도 받을 수 있다면 저는 정말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여러모로 요즘 물가도 많이 올랐는데, 조금이라도 생활비 절약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