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신청 대상, 금액,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혹시 청년안심주택 보증금이 조금 부족해서 걱정이신가요? 서울특별시에서는 신혼부부 및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년안심주택을 제공하는데요. 청년안심주택을 계약할 때 보증금의 일부분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고 해당되시면 임대보증금을 지원받으실 수 있으세요.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신청 대상, 금액, 방법
서울 청년안심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신청 대상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임대보증금 지원제도는 청년안심주택 신규 입주 예정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청년안심주택이 아닌 일반 원룸, 오피스텔에 거주하시는 경우는 해당이 안 되시고요. 주로 청년안심주택에 입주예정인 신혼부부와 청년들이 대상이 되십니다.
당연히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이셔야 되고 소득이랑 자산 기준도 있는데요. 청년이신 경우 신청일 기 월소득이 3,482,964원 이하이셔야 되고 자산은 2억 7300만 원 이하입니다.
그리고 신혼부부이신 경우 2인가구 이시면 월소득이 6,498,854원 (약 650만 원), 아기가 있는 3인가구 이시면 8,638,379원(약 864만 원) 이하이고요. 자산 기준은 3억 4500만 원 이하입니다.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금액
들어가시려고 하는 서울 청년안심주택의 임차보증금이 1억 원이 초과되시면 보증금의 30%를 지원받으실 수 있고요. 1인 청년이시면 최대 4,500만 원, 신혼부부이시면 최대 6,000만 원입니다. 임차보증금이 1억 원 이하이면 보증금의 50%를 지원받으실 수 있으시고요. 청년 및 신혼부부는 최대 4,500만 원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원받는 기간 동안 이자를 내셔야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는데요. 정말 좋은 게 임자보증금은 무이자입니다. 그래서 자격에 해당되신다고 보증금 지원 신청을 안 할 이유가 없는 것 같습니다.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신청 방법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신청 방법은 우선 임대차 계약을 마치시고요. “청년안심주택 종합지원센터”로 입주일 기준 최소 3주 전까지 직접 방문신청하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3주 정도의 심사 및 완료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에요.
전화 같은 비대면으로는 하실 수가 없고 반드시 방문신청 하셔야 됩니다. 방문신청하시면 이제 현재 소득 및 자산을 심사하시게 되는데요. 그래서 통과가 되시면 약정서에 서명하시고 체결하시면 되세요. 그 후에 이제 본인 계좌 명의의 최대 보증금액이 입금이 됩니다.
그리고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다른 지원사업인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제도” 랑은 중복신청이 안되시고요. 전세자금대출은 중북으로 신청이 가능하신데 대출 가능여부는 은행 심사기관의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지금까지 서울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지원, 신청 대상, 금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는데요. 요즘 서울 아파트 집값, 월세 그리고 전세 값도 만만치 않아서 다들 청년안심주택 입주에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서울 청년안심주택은 서울 곳곳에 정말 많은 곳에 위치해 있는데요. 시설도 최신이고 역세권에 위치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소득 및 자산요건도 생각보다 널널해서 이 지원제도를 모르시면 어쩔 수 없지만, 아시면은 굳이 이용을 안 할 이유가 정말 없고요. 참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청년안심주택에 들어가시는 분들은 제 글을 보셨으니 꼭 보증금 지원 신청을 하시고요. 금전적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