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구글 애드센스 쿠팡파트너스 블로그, 사업자등록증 코드 번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이제 애드센스 승인받으시고 최소 지급액인 100달러가 넘어가시면 슬슬 이제 사업자등록 해야 하나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애드센스 수익은 미국 외화 달러로써 부가세 영세율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일반 과세자로 등록하시면 10% 매입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구글 애드센스와 쿠팡파트너스 사업자등록증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쿠팡파트너스 블로그, 사업자등록증 코드 번호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 사업자등록증 코드
구글 및 네이버에 검색해서 찾아보시면 사람들이 다양한 업종 코드로 애드센스 사업자등록을 하신 것을 보셨을 텐데요. 예를 들어 많이들 등록하시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SNS 마켓”, “광고 대행업” 그리고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것을 등록해야 하는지 의견들이 많아서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구글 애드센스 관련해서 세무사 분들이 공통적으로 아니라라고 하는 사업자 코드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940306)”, “SNS 마켓(525104)”입니다. 그러면 이제 남은 코드는 “광고대행업(743002)”과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정보통신업, 642004)”이 있는데요.
이 둘 중에 이제 선택을 하셔야 되는데 기존, 단순 경비율을 따져봐서 개인에게 유리한 업종으로 선택을 하시면 되십니다. 둘 중 어느 것을 선택하시든 큰 문제는 없는 것 같고요.
단, 저는 이전에 구글 애드센스 세금과 관련돼서 재판부에서 판례 한 사례를 참고했습니다. 그래서 좀 더 안전한 코드인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642004)”을 선택했고요. 사업자 코드 추가 부분에 정보통신업 “642004” 코드를 선택해서 추가해 주시면 되십니다.
쿠팡파트너스 블로그 사업자등록증 코드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 운영하시면서 동시에 파이프라인을 늘리기 위해 쿠팡파트너스 제휴 마케팅도 많이 하시는데요. 주로 이제 수익의 대부분을 구글 애드센스가 차지하시면 정보통신업 “642004” 코드를 “주 업종”으로 선택해 주시면 되십니다. 다음에 이제 쿠팡파트너스 코드는 “부업종”으로 등록을 해주시면 되시는데요.
코드는 “도매 및 소매업” 코드인 “525104” 입력, 추가해 주시면 되십니다. 업종은 SNS 마켓이고요. 누르시면 이제 안에 산업분류코드가 있습니다. 쿠팡파트너스처럼 블로그 통해 제품 소개 및 중개를 해주는 산업직업군은 “47911” 코드를 선택해 주시면 되세요.
그렇게 주 업종 애드센스, 부업종 쿠팡파트너스 블로그 관련 코드를 입력하시고 저장을 눌러주시면 되십니다. 만약 쿠파스가 주 업종이시면 반대로 해주시면 되세요.

구글 애드센스 10% 매입세액공제 혜택 (부가세)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달러로 외화 입출금 통장을 통해 지급받는데요. 외화는 부가가치세 영세율을 적용받아서 따로 세금을 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서 위의 코드로 사업자등록을 “일반 과세자”로 하시면 10% 매입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단 간이과세자는 세법이 달라서 해당되지 않고 꼭 일반 과세자로 등록이 되셔야 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을 쓰는데 필요한, 즉 일하는데 필요한 아이패드 에어 M2 모델을 구입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가격이 한 120만 원 정도 되는데요. 그러면 10% 해당되는 12만 원 정도의 금액을 환급받으실 수 있는데요. 확실히 부가가치세도 내지 않는데 환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참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단, 오로지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외화를 벌어들이는 경우에만 해당되고, 꼭 개인사업자카드 국세청에 등록하시고요. 만약 애드센스보다 쿠팡파트너스 수익이 훨씬 높으신 경우에는 원화로 벌어드리는 경우라서 간이 과세자 방법이 세금면에서 더 유리하실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정리
지금까지 구글 애드센스 쿠팡파트너스 블로그, 사업자등록증 코드 번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메인으로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그런 분들은 개인사업자 일반과세 통해 세액 공제받아서 환급받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다들 아무쪼록 사업자등록을 잘 마치셔서 금전적으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